해커스 수능영어독해 미니모의고사 완성 분석노트 분사구문 정리
해커스 수능영어독해 미니 모의고사 분석노트 분사구문 & 동명사구 정리
But perceiving this culture and then becoming aware of all that it entails can often require inference and intuition. In fact, the constituent elements themselves may not even be consciously held, instead only manifesting themselves in the way people interact with the political system.
그러나 이 문화를 알아차리고 그 후 그것(정치 문화)이 수반하는 모든 것을 인식하는 것은 종종 추론과 직관을 필요로 할 수 있다. 사실, 그 구성 요소들 자체는 사람들에 의해 의식적으로 보유되지조차 않을 수도 있으며, 그 대신 그것들이 스스로를 드러내 보일 수도 있다 사람들이 정치 체제와 상호 작용하는 방식에서만.
but instead the constituent elements themselves are only manifesting themselves ~(분사구문 이전 문장)
정치 문화 → 추론·직관으로 인식 → 행동과 상호작용을 통해 드러남 Political culture is often implicit, revealed through people’s interactions with the political system.
사람들은 정치 문화의 요소들을 ‘아, 나는 이런 믿음을 가지고 있어!’ 하고 의식적으로 생각하지 않는다. 그렇지만 투표 행동, 정치 뉴스 소비, 여론반응 같은 행동 방식에 자연스럽게 드러날 뿐이다.
perceiving ~ / becoming aware ~ : 문장 전체의 주어 역할을 하는 동명사구
instead only manifesting themselves ~ : 앞 문장을 받아 의미를 이어 주는 분사구문